본문 바로가기
[지식채우기] Physiotherapy/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CF의 필요성을 나름대로 느낀 교육!!

by Raimiste 2012. 6. 10.



(교육중 사용한 교재)


(즐겨가는 까페에 앉아 교육 후 느낀 감흥이 사라지기 전에 글로 남겨본다.)


  처음으로 OMT 교육으로 package course 를 신청하여 들었다. 요통 환자가 가장 많고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고 생각했기에 흉요추 코스를 시작으로 다른 코스도 계속해서 들을 생각이다. 교육은 다소 따분하기도 해서 졸기도 했지만 열심히 들어 보았다. 강사분께 조용히 옆에가서 질문도 하고...(역시 내가 옆에 가니 놀라신다...가끔은...)ㅋㅋ 졸업이후 처음으로 관절운동학에 대해 설명을 다시 듣고 운동학에 대해 듣는데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기도 하고 모르던 내용을 새롭게 알게 되어 재미있게 이수한 것 같다(하지만 인제 시작하는 나에게는 막상 뜬구름잡고 있는 듯 했다 - 그래서 듣는 내내 이미 알고 있는 임상실기과정에 그 내용들을 끼워넣으면서 들기로 전략을 세웠다. 왜?? 그야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문제를 수집하고, 파악하여 그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거쳐 환자의 우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니까..). 

  총 4주간의 교육을 들으면서 느낀바로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는 듯 했다. 그중 첫번째로... 강사분들이 사용하시는 용어의 정의가 서로 다르다는 생각이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는 기능!! 이 기능을 신체기능으로 말하는 것과 한 개인으로서의 기능으로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혼용을 가장 많이 들었던 것 같다.

  또한, OMT course에서 소개한 방법이 마치 모든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처럼 생각이 들었다(제가 잘못 생각했을 수도 있지만... 적어도 그렇게 이해하도록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았다). 하지만 내가 궁금해 하는 것은 전체적인 로드맵(문제해결 과정)도 궁금할 뿐만아니라 특정 문제가 있을때의 해결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정확히 제시해주시는 분이 많지 않아 처음에는 대단히 혼란스럽기만 하였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이 혼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중간 다리 역할을 해주시는 분들이 주위에 많아 큰 문제는 되지 않았고, 결국 문제해결과정(임상추론) 안에 모두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렇게 하고 나니 로드맵을 그려넣기가 훨씬 수월해졌고, 교육에 집중하기가 편했다. 

  이러한 경험을 하고 나니 결국에는 이론의 틀 또는 사고의 틀(conceptual framework)이라고 불리는 도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느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장애모델 중 하나인 ICF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임상에서 왜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 경험할 수 있게 되었던 것 같다. 이제막 ICF에 대해 내 머리속의 지식을 재조직화하기 위해 공부를 시작한 이 시기(ICF 관련해서 번역한 논문이 없어서 현재 번역중 ㅠ.ㅠ 아~ 어렵다 OTL)에 좋은 촉진제가 된 것 같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 모르는 치료사들이 대부분일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점은 이 분야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는 거...일례로 곧 교과목과 국시과목이 바뀐다. 지극히 사고를 요하는 수업으로 시험으로... 

  이처럼 하루하루 급변하는 이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키워드, 앞으로의 변화방향, 그에따른 대책방안 모색 등등을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 무시무시한 무기!! 통찰력!! (아~~ 나이는 변화하지 않은 채 통찰력을 키워갈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인가?) 때때로 어르신들(?)의 이 통찰력이 무지무지 부러울 때가 많다. 

  결론적으로, 이번 코스 교육을 통해 물리치료사 내의 같은 집단 내에서도 의사소통에 필요한 공통된 용어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ICF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김태윤 교수님께서 말씀 하셨던 것 처럼 물리치료에는 순서와 절차가 있다는 말!! 여기서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많은 치료사들이 이 순서는 고려하지 않고 'A라는 문제에는 B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라는 식으로 교육을 듣는 것 같아서 안타깝기도 하다...). 


  여러분들의(같은 관련 직종이든 그게 아니든...연차가 많든 적든...) 생각은 어떠신가요...?? ^^


P.S.  개인적으로 제 주위(임상)에서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공부할 주제, 사고의 변화 등을 일캐워주시고 깨우쳐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